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자부담 견디지 못하고 " 한국 가계부채 비율 3년반 만에 100% 아래로
올 1분기 우리나라 가계 빚이 3년 반 만에 경제규모 아래로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장기화를 이기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은행 영업부 대출 창구 앞을 이용객이 오가는 모습. [연합]

[헤럴드경제=성연진 기자] 올해 1분기 우리나라 가계의 빚(부채)이 3년 반 만에 경제 규모(국내총생산·GDP) 아래로 내려갔다.

가계부채는 부동산·주식에 빚을 내 투자하는 ‘빚투’에 이어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출 증가로 경제 규모를 훌쩍 넘어서왔다. 그러나 2021년 하반기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작된 통화 긴축이 장기화되자, 이자 부담에 빚 거품이 꺼진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기업 부채는 여전히 축소되지 않고 있어 GDP의 1.2배를 넘어서고 있다. 주요국 가운데 네번째다.

가계부채 비율 하락 속도 세계 4위

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98.9%)이 가장 높았다.

이어 홍콩(92.5%)·태국(91.8%)·영국(78.1%)·미국(71.8%)이 2∼5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이래 4년간 ‘세계 최대 가계부채 국가’ 이름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을 살펴보면 개선되고 있다. 한국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3분기(100.5%) 100%를 뚫고 올라간 뒤 3년 반 만에 처음 90%대로 내려왔다. 비율이 정점이었던 2022년 1분기(105.5%)보다는 6.6%포인트나 낮다.

속도도 빠르다. 1년 전과 비교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의 내림 폭(-2.6%포인트·101.5→98.9%)은 홍콩(-3.8%포인트·96.3→92.5%), 영국(-3.5%포인트·81.6→78.1%), 미국(-2.8%포인트·74.6→71.8%)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앞서 지난해 8월 이창용 한은 총재가 밝힌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 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현재 100% 이상인 이 비율을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를 우선 달성한 셈이다.

IIF는 보고서에서 “세계 부채 규모가 올해 1분기 1조3000억달러 늘어 사상 최대인 전체 315조달러(GDP의 333%)를 기록했다”며 “증가의 주요 원인은 중국·인도·멕시코 등 신흥시장 때문인데, 반대로 한국·태국·브라질의 경우 총부채 규모(미국 달러 환산)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시내에 부착된 대출 관련 광고물. [연합]
기업부채 비율, 1년간 떨어지지 않고 123%

하지만 기업의 빚 증가세는 꺾이지 않고 있다.

1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 123.0%로 1년 전과 같았다. 높은 수준의 금리를 감안하면 사실상 이자 비용을 지고서라도 ‘빚으로 버틴 기업’이 줄지 않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보다 비율이 높은 곳은 홍콩(261%)·중국(170.6%)·싱가포르(127.2%) 3개국 뿐이다.

우리나라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7.1%)은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1년 전(47.2%)보다도 0.1%포인트 낮아졌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31.0%)이었고, 싱가포르(172.0%)·미국(120.0%)·아르헨티나(117.7%)가 뒤를 이었다.

yjsu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